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간의 인지 발달과 창의성

728x90
반응형

창의성의 개념과 특성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제품, 작품, 또는 문제 해결 방법을 생성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입니다. 심리학적으로 창의성은 다양한 정의와 이해를 받고 있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설명됩니다:

  1. 도메인-적용적 관점(Domain-Appropriate Perspective): 이 관점에서 창의성은 특정한 도메인이나 분야에서 새로운, 유용하며 가치 있는 것을 창조하는 능력으로 정의됩니다. 예를 들어, 예술, 과학, 기술, 문학 등의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2. 인물-적용적 관점(Person-Appropriate Perspective): 이 관점에서는 개개인의 창의성을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이 특정 도메인에서 창의성을 나타내는 데 뛰어나다고 할 때, 그 사람은 개개인의 경험, 지식, 기술, 인격 등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결과물을 창조하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간주됩니다.
  3. 문제 해결과정(Process of Problem Solving): 창의성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도전에 대처할 때 발현되는 과정으로도 이해됩니다. 이 관점에서 창의성은 새로운 관점을 통해 문제를 이해하고, 비관론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며, 실험과 검증을 통해 새로운 솔루션을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설명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 창의성을 정의함으로써, 창의성의 본질적인 다양성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창의성의 특성

독창성

독창성(Creativity)은 창의성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독특하게 창조하고, 기존의 틀을 벗어나서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심리학적으로 독창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됩니다:

  1. 비결정적 사고(Non-Deterministic Thinking): 독창성은 논리나 상식의 규칙에 국한되지 않는 비결정적 사고를 특징으로 합니다. 독창적인 사고자들은 주어진 문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탐험하며, 상식적인 경계를 넘어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연상과 연결(Association and Connection): 독창성은 여러 가지 아이디어나 개념을 연상하고 연결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새로운 관계를 찾아내거나 이전에 분리되어 있던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3. 유연성(Flexibility): 독창성은 사고의 유연성을 강조합니다. 여러 가지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접근법이나 관점을 채택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독창성을 특징짓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4. 원술성(Originality): 독창성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창조하는 원술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나 새로운 접근법을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이 독창성의 표현으로 간주됩니다.
  5. 높은 수준의 상상력(High Level of Imagination): 독창성은 풍부하고 활발한 상상력을 동반합니다.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시나리오나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며, 이를 현실에 적용하는 데에 창의성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독창성을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개인이나 조직에서 독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들을 유도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노력할 수 있습니다.


유용성

창의성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유용성(Utility)"입니다. 유용성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작물이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심리학적으로 유용성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문제 해결과 연관된 유용성: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주어진 문제나 도전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이는 실용적이며 실제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측면에서 유용성을 강조합니다.
  2. 사회적 가치 창출: 창의성이 유용하려면 그 결과물이 사회나 조직에 가치를 창출하는 데에 기여해야 합니다. 이는 새로운 제품,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가 사회적인 문제를 개선하거나 산업, 문화, 경제 등의 분야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3. 실현 가능성과 연결된 유용성: 창의성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도 고려합니다. 아이디어가 구현 가능하며 실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그 유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사용자 중심 접근: 유용성은 종종 사용자의 요구나 필요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나 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관련이 있습니다. 창의적인 해결책이 실제 사용자들의 니즈를 충족하면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때, 그것은 높은 유용성을 가지게 됩니다.
  5. 상업적 가치와 경제적 효과: 유용성은 종종 제품이나 서비스로 이어지는데, 이것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수요를 충족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에 성공한다면, 그 제품이나 서비스는 높은 유용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창의성이 유용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문제 해결과 연결되며, 실제로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나 사회에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측면을 고려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움

창의성의 또 다른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새로움(Novelty)"입니다. 새로움은 이전에 경험하지 않은, 기존의 틀이나 패턴에서 벗어나는 아이디어나 창작물을 나타냅니다. 심리학적으로 새로움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노벨티와 다양성(Diversity in Novelty): 새로움은 다양성을 포함합니다. 다양한 관점, 접근법, 또는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하여 이전에 없던 창조물을 만들어내는 데에 중점이 둔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관계 형성: 새로움은 종종 기존의 것들 간의 새로운 관계를 창출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서로 다른 도메인이나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와 결합하거나, 이전에 연결되지 않았던 아이디어 간의 새로운 연관성을 형성합니다.
  3. 감각적 혹은 개념적 혁신(Sensory or Conceptual Innovation): 창의성의 새로움은 감각적인 혁신(예: 시각, 청각, 촉각 등) 또는 개념적인 혁신(예: 새로운 이론, 개념, 사고 방식 등)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시대적 변화와 연계: 새로움은 때때로 시대적인 변화와 긴밀한 연관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 문화적 변화, 사회적 요인 등이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작물의 탄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5. 타협하지 않는 독립성(Non-Conformity): 새로움은 종종 기존의 표준이나 관행에 도전하며, 타협하지 않는 독립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창의성의 핵심인 새로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작물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고, 새로운 시각과 관점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